가톨릭대학교의 상징인 교목, 교수, 그리고 교화는 우리 학문적인 가치와 사명을 대변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우리 대학의 정신과 목표를 상징하며, 지식의 전달과 이해, 상호 연대와 이해, 그리고 윤리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상징물을 통해 학문적인 역량과 교육적인 가치를 지지하며, 끝없는 성장과 발전을 지향합니다.
상징물 3요소
소나무
교목 校木우리나라 어디서나 발견되는 소나무는 사철 푸르고 고상하면서도 강직한 기상을 드러내기 때문에, 예로부터 선비의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칭송되어 왔다. 비바람은 물론, 혹독한 겨울 날씨에도 끄덕없이 견디어 내는 강인함 덕분에 장수목을 상징하며 왕궁과 고찰들의 건축자재로는 물론 양반 가문의 건축 자재로 사용되어왔다. 가톨릭대의 교목인 소나무는 진리의 보편성, 굳은 지조, 의연함, 강한 저력을 추구하는 가톨릭대의 오랜 역사를 반영하며 희망과 언제나 변하지 않는 영속성을 상징한다.
우리나라 대표적 나무 / 고상함늘푸른 / 절개 / 독야청청강한 생명력
비둘기
교수 校獸비둘기는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에게 헌정된 새였다. 사람들에게 양순하면서도 우아한 자태 때문이었을 것이다. 유다인들에게는 그 사랑스럽고 다정한 모습 때문에 사랑하는 애인의 모습에 비유되었으며(아가 2,14), 그리스도교에서는 신의 사랑과 능력을 드러내는 성령의 상징으로 활용되었다(마르 1,10). 처음 창조된 세상이 인간의 이기심과 탐욕에서 비롯된 온갖 죄악으로 가득차 노아의 가족만을 빼고는 모두 홍수로 멸망되게 되고 새 세상이 열리게 되었을 때, 새 인류의 아버지인 노아는 처음에는 까마귀를 날려 보내 보았으나, 그냥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고, 두 번째로 비둘기를 내보냈는데, 비둘기는 충실하게도 푸른 올리브 잎을 물고 와 물이 빠진 새 세상의 첫 소식을 알려주었다(창세 8,8). 이러한 이유로 인류는 언제나 비둘기를 일치와 평화, 그리고 기쁜 소식의 상징으로 삼아왔다. 이는 가톨릭대 구성원의 성실함, 사랑 실천, 일치, 평화의 봉사, 개혁의지를 상징한다.
평화의 상징 / 노아홍수 이후 새 세상신의 능력을 드러내는 성령의 상징(마르 1,10)애인의 상징(아가 2,14; 5,2f)다정함 / 사랑(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에게 헌정된 새)성실함비둘기같이 양순함(마태 10,16)
백합
교화 校花신들의 신 제우스와 아름다운 처녀 알크메네 사이에서 힘의 장사 헤라클레스가 태어났을 때, 제우스는 질투하는 아내 헬라를 잠들게 하고는 그 젖을 빨도록 했는데, 너무 힘차게 빨아 젖이 흘러 땅에 떨어졌고, 거기서 피어난 꽃이 백합이라고 한다. 이렇게 그리스의 신화가 재치 있게 표현한 것처럼 백합의 순백의 화려함과 그윽한 향기는, 유다-그리스도교 문화에서도 풍부한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유다인들은 거칠고 메마른 땅에서도 하늘에서 내려오는 이슬만을 먹고 진한 향기와 더불어 화려하게 피어나는 백합을 신의 자비와 사랑 덕분에 고난으로 점철된 유배생활에서 해방되어 죄를 말끔히 씻고 아름답게 번성할 미래에 대한 희망의 상징을 받아들였다(호세 14,6 ~7). 예수 그리스도는 들에 핀 백합의 아름다움이 신의 작품임을 강조하면서 이 세상의 온갖 가치에 사로잡히지 말고 영원한 생명과 아름다움이 천국을 동경하라고 가르쳤다(마태 6,29). 그리스도교에서는 이 세상의 부귀와 가치에 마음을 두지 않고 오직 천국을 동경하는 열망으로 살아간 순결한 성녀들의 상징으로 삼고 있다. 예술작품 속에서 성모의 상징으로 종종 쓰인다. 이는 시류에 야합하지 않는 가톨릭대만의 고매한 정신, 번영의 내일, 하늘 나라의 동경을 상징한다.
우아하고 고결한 자태 / 그윽한 향기 / 순결, 성모님의 상징‘들에 핀 백합을 보라...’화려함과 풍요로움(호세아 1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