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대학장학금입학안내기숙사등록가톨릭대학교대학원입학안내
모바일메뉴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주요연구성과


가톨릭대 교수 61명,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선정

  • 작성자 :대외협력팀
  • 등록일 :2025.10.02
  • 조회수 :19



 가톨릭대학교(총장 최준규)가 글로벌 학술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와 미국 스탠퍼드대학교가 발표한 ‘2025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명단에 61명의 연구자를 이름을 올리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인정받았다.

  

 엘스비어와 스탠퍼드대학교는 매해 22개의 과학 분야, 174개 세부 분야별로 최소 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전 세계 연구자 중 우수논문 인용지수인 SCOPUS를 바탕으로 논문 피인용도에 따른 연구 영향력을 평가해 ‘세계 최상위 2%’를 선정 후 발표한다.

  

 올해 가톨릭대는 연구자의 생애업적 기준과 한 해 기준 등 두 기준에 중복으로 선정된 연구자를 포함해 총 61명의 연구자가 세계 최상위 2%로 선정됐다. (2024년도 재직 기준)

  

 생애업적 기준으로 ▲배치운(정신건강의학교실) ▲나건(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위정호(에너지환경공학과) ▲윤승규(내과학교실) ▲박철휘(내과학교실) ▲박준범(치과학교실) ▲이석형(병리학교실) ▲박원상(병리학교실) ▲이은성(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양철우(내과학교실) ▲정찬권(병원병리학교실) ▲장정원(내과학교실) ▲곽미경(약학대학) ▲이주영(약학대학) ▲조용연(약학대학) ▲이경일(소아청소년과학교실) ▲조광재(이비인후과학교실) ▲김필(생명공학과) ▲구희범(의생명과학교실) ▲강한창(약학대학) ▲강진한(백신바이오연구소) ▲이상민(화학과) 등 22명의 연구자가 명단에 올랐다.

  

 2024년 한 해 기준으로는 ▲배치운(정신건강의학교실) ▲위정호(에너지환경공학과) ▲정찬권(병원병리학교실) ▲김희승(간호학과) ▲김헌성(의료정보학교실) ▲이진국(내과학교실) ▲이승환(내과학교실) ▲이주영(약학대학) ▲윤건호(내과학교실) ▲박철휘(내과학교실) ▲조미라(병리학교실) ▲김미경(내과학교실) ▲구희범(의생명과학교실) ▲장정원(내과학교실) ▲윤승규(내과학교실) ▲주지현(내과학교실) ▲이은성(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송명준(내과학교실) ▲김인호(내과학교실) ▲이종욱(내과학교실) ▲곽미경(약학대학) ▲나건(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김진성(신경외과학교실) ▲이혜옥(미생물학교실) ▲박준범(치과학교실) ▲김도현(이비인후과학교실) ▲강한창(약학대학) ▲유석현(예방의학교실) ▲김희주(임상간호학과) ▲박혜영(안과학교실) ▲이경일(소아청소년과학교실) ▲조용연(약학대학) ▲성필수(내과학교실) ▲정소령(영상의학교실) ▲황세환(이비인후과학교실) ▲하기용(정형외과학교실) ▲김미리(피부과학교실) ▲강모열(직업환경의학교실) ▲이지현(피부과학교실) ▲우유리(피부과학교실) ▲나경선(안과학교실) ▲김정희(임상간호학과) ▲최문형(영상의학교실) ▲정병하(내과학교실) ▲송교영(외과학교실) ▲국윤아(치과학교실) ▲조광재(이비인후과학교실) ▲최원석(의생명건강과학과) ▲김성원(이비인후과학교실) ▲이동희(이비인후과학교실) ▲김명신(진단검사의학교실) ▲강진한(백신바이오연구소) ▲김용구(진단검사의학교실) ▲Kausik Bishayee(해부학교실) ▲제갈동욱(내과학교실) ▲오은지(진단검사의학교실) 등 총 56명의 연구자가 선정됐다. 

  

 이 중 ▲배치운(정신건강의학교실) ▲위정호(에너지환경공학과) ▲정찬권(병원병리학교실) ▲이주영(약학대학) ▲박철휘(내과학교실) ▲구희범(의생명과학교실) ▲장정원(내과학교실) ▲윤승규(내과학교실) ▲이은성(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곽미경(약학대학) ▲나건(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박준범(치과학교실) ▲강한창(약학대학) ▲이경일(소아청소년과학교실) ▲조용연(약학대학) ▲조광재(이비인후과학교실) ▲강진한(백신바이오연구소) 등 총 17명의 연구자가 생애업적, 2024년 한 해 기준 총 2개 기준 모두에 포함되며, 세계적 수준의 높은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

QUICK
MENU
맨위로가기